티스토리 뷰

기적의 100년

왜 기적의 100년인가

work2play 2017. 8. 21. 06:51

20세기가 시작될 때 세계인구는 17억명 정도였다고 추정된다.

20세기가 끝날 때 세계인구는 60억명이 넘었다.



100년동안 세계인구가 4배 정도 증가한 적이 있었을까?

앞으로는 가능할까?



인구가 10억명에서 20억명이 되는데 123년이 걸렸다.

20억명에서 30억명이 되는데 33년이 걸렸다.

30억명에서 40억명이 되는데 14년이 걸렸다.

40억명에서 50억명이 되는데 13년이 걸렸다.

50억명에서 60억명이 되는데 12년이 걸렸다.

60억명에서 70억명이 되는데 12년이 걸렸다.

인구증가는 가파른 상승구간의 마지막 부분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한 種의 생물에 있어서 총 개체수가 S커브 형태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자.

어떤  種의 생물로 살아갈 때, 그 種 생물의 개체수 증가가 어떤 구간에 살아가고 싶은가?

초기 저성장 구간? 급격한 고성장 구간? 후기 저성장 구간?

나라면 급격한 고성장 구간의 후반을 선택하겠다.

그 시기가 그 생물 種이 살아가기 가장 좋은 환경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억세게 운이 좋은 세대다. 

50만년 전부터 시작된 사피엔스의 역사를 17,000세대라고 가정할 때,

행운의 100년을 사는 3개 세대 안에 들었으니까.


(자료 : 위키피디아)

'기적의 10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20세기인가  (0) 2020.02.1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